E-paper
E-paper란?
flexible display의 일종이며 전자 종이라고도 불린다.
반사광을 사용하여 햇빛이 많이 비춰지는 곳에서도 선명하게 보인다.
가볍고 내구도가 좋지만 반응속도가 느리고 종이보단 덜 휜다.
그림이 변경된 이후에는 글자와 그림은 전기 소모없이 디스플래이 가능하다.
원리는?
이분야의 선두는 E-ink에서 개발한 전자 잉크 방식 입니다.
이는 미세 입자를 마이크로 캡슐안에 넣어 상하 전극의 +,-극성 변호에 따라 백색과 흑색 입라를 표면에 부상시켜 이미지를 표시합니다. 또한 다른 방법의 예로는 Twistball, QR-LPD 등이 있습니다.
또한 흰색 광산란의 입자가 near-Lambertain 반사를 제공합니다.
음전압이 부과를 한다면 관찰자의 먼쪽에서 전극으로 흰색 입자들캡슐 상부로 이동한다.
검은색 입자들이 이동하며 빛을 흡수하므로 검은색이 관찰되기도 한다.
결론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결론적으로 전하에 따라 검은색과 흰색 잉크가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E-paper가 표시되게 되며 이는 한번 바뀌게 된다면 더이상의 전력소모가 없이 사용할수 있다.
E-paper의 사용 예시
-버스 정류장
전자종이(E-paper)는 눈부심이 없고 밝을수록 선명해집니다.
그래서 기존 LCD형 단말기보다 시안성이 좋으며, 시야각이 넓어 상하좌우에서도 디스플래이를 볼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이외에도 수명이 반 영구적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.
하지만
빛이 없을때 즉 야간에는 시안성이 굉장히 많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습니다.
따라서 이를 다른 기술과 결합하여 극복한다고 합니다.
E-paper의 전망은??
단점은
색 재현력이나 응답속도가 느리다.
화면이 잔상을 최소화 하기 위해 깜빡일떄가 있다.
if) 이러한 단점을 최소화 한다면
전력 공급이 어려운 곳에서 쓰인다.
잘 휘는 특성을 이용하여 휘는 디스플래이어 개발에 사용된다.
실제로도 휴대폰 또는 tv에 사용되고 있는 기술인 만큼 추후 미래가 굉장히 밝다.